카카오톡 홈으로 메뉴열기
홈으로
과실비율 인정기준
나의 과실비율 알아보기
나의 과실비율 알아보기
316
이륜차 A
녹색 직진
자동차 B
녹색 좌회전
Main 316
  • 사고 상황
  • 적용(비적용)
  • 기본과실 해설
신호기에 의해 교통정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교차로에서 녹색신호에 교차로에진입하여 직진하는 A이륜차와 대향방향에서 녹색신호에 좌회전하는 B차량이 충돌한 사고이다.
  • 과실비율
  • 수정요소해설
  • 관련법규
  • 판례·조정사례
기본과실 A0 : B100
사고상황
이륜차A : 녹색 직진
자동차B : 녹색 좌회전
적용과실

A0 B100

가감요소 A B
10 0
10 0
20 0
0 5
0 10
0 10
0 10
0 20
0 -10
이 사고유형에 대한 위원회 심의결정을
소비자께서 수용
하여 분쟁이 해소된 비율은
%입니다.
(유형 심의 건, 수용 건, '21.4~'21.8월 심의결정 분석)
*이 사고유형은 21개 주요 사고유형으로 추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도로교통법 제25조 제5항 및 제26조 제1항에 따라 교차로가 정체 중인 상황에서는 직진차량은 교차로에 진입해서는 아니되므로 이를 위반하여 교차로에 진입한 직진차량의 과실을 10% 가산한다.
2
신호기에 의해 교통정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교차로이지만, 도로교통법 제26조 제1항을 준용하여 교차로에 선진입한 차량에게 우선권이 있다고 보아 명확히 선진입한 차량의 과실을 10% 감산한다. 여기서 선진입 판단은 교차로(또는 일시정지선)에서부터 충돌지점까지의 거리와 충돌 부위, 양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여 판단한다.
3
현저한 과실로는
① 한눈팔기 등 전방주시의무 위반이 현저한 경우
② 음주운전(혈중알코올농도 0.03% 미만)
③ 10㎞/h 이상 20㎞/h 미만의 제한속도 위반
④ 핸들 또는 브레이크 조작의 현저한 부적절
⑤ 차량 유리의 암도가 높은 경우
⑥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⑦ 운전 중 영상표시장치 시청·조작
등으로 사고형태와 관계없이 나타날 수 있는 유형을 포함한다.

도표별로 사고 상황을 가정하여 기본과실을 정하였으며,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과실을 고려하였다. 이 기본과실에 더해 과실의 정도가 큰 과실을 현저한 과실이라 한다. 중대한 과실보다는 주의의무의 위반정도가 낮은 과실항목을 의미하며, 중대한 과실과 중복 적용하지 않는다.
4
중대한 과실로는
① 음주운전(혈중알코올농도 0.03% 이상)
② 무면허 운전
③ 졸음운전
④ 제한속도 20㎞/h 초과
⑤ 마약 등 약물운전
⑥ 공동위험행위(도로교통법 46조)
등으로 사고형태와 관계없이 나타날 수 있는 유형을 포함한다.

현저한 과실보다도 주의의무의 위반정도가 높고 고의에 비견할 정도로 위험한 운전행위를 하는 중대한 과실을 말한다. 현저한 과실과 중복 적용하지 않는다.
도로교통법 제5조(신호 또는 지시에 따를 의무)
 
① 도로를 통행하는 보행자, 차마 또는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교통안전시설이 표시하는 신호 또는 지시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이 하는 신호 또는 지시를 따라야 한다.
 1. 교통정리를 하는 국가경찰공무원(의무경찰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 및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치경찰공무원(이하 “자치경찰공무원”이라 한다)
 2. 국가경찰공무원 및 자치경찰공무원(이하 “경찰공무원”이라 한다)을 보조하는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이하 “경찰보조자”라 한다)
② 도로를 통행하는 보행자, 차마 또는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제1항에 따른 교통안전시설이표시하는 신호 또는 지시와 교통정리를 하는 국가경찰공무원ㆍ자치경찰공무원 또는 경찰보조자(이하 “경찰공무원등”이라 한다)의 신호 또는 지시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경찰공무원등의 신호 또는 지시에 따라야 한다.
도로교통법 제25조(교차로 통행방법)
 
② 모든 차의 운전자는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서행하면서 교차로의 중심 안쪽을 이용하여 좌회전하여야 한다. 다만, 지방경찰청장이 교차로의 상황에 따라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지정한 곳에서는 교차로의 중심 바깥쪽을 통과할 수 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2(신호기가 표시하는 신호의 종류 및 신호의 뜻)
 
서울고등법원 2010.6.18. 선고 2009나93000 판결
(서울중앙지방법원 2008가단400560)
 
야간에 신호기 있는 삼거리 교차로에서 B차량(버스)이 신호를 위반하여 좌회전하던 중, 맞은 편에서 직진신호를 받고 편도6차로 중 3차로를 따라 진행하던 A(이륜차)의 앞 부분을 B차량 좌측 옆 뒷부분으로 충돌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사고 : B차량 과실 100%
※ 이륜차의 주행차로 위반은 과실로 인정하지 않음
수원지방법원 여주지원 1994.4.1. 선고 93가단4757 판결
 
주간에 신호기 있는 삼거리 교차로에서 B차량이 정지신호를 무시한 채 좌회전한 과실로, 반대차선에서 직진신호로 변경되자마자 직진하던 A이륜차(무면허)를 충격한 사안 : B차량의 과실 80%.